태음태양력은 역법의 일종으로, 태음력을 기본으로 하여 태양력의 요소를 절충한 역법입니다.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쓰이는 음력 또한 태음태양력에 속합니다.
순수 태음력과 태양력은 각자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태양력은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날짜를 알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순수 태음력은 달의 모양으로 날짜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계절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1삭망월은 약 29.530589일이고 여기에 12를 곱한 값, 즉 12삭망월은 약 354.367068일로 1태양년(약 365.2422일)과는 11일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가 해마다 쌓이고 쌓이고 하다 보면 계절과 달력이 따로 노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음력 1월이라도 어떤 해는 한겨울인데 또 어떤 해는 한여름이 되는 식으로 달력이 계절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농업이 중요한 산업이었고,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계절의 변화를 알아야 했기 때문에 달력이 계절을 반영하도록 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태음력이 계절을 반영할 수 있도록 태양력의 요소를 절충한 것이 바로 태음태양력입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2삭망월이 1태양년보다 11일 정도 더 짧기 때문에, 차이가 벌어질 때마다 중간에 윤달을 한 달씩 끼워넣어 그 차이를 보정합니다. ‘메톤 주기’에 의하면, 19태양년은 235삭망월과 거의 같습니다. (19태양년은 약 6939.6018일, 235삭망월은 약 6939.688415일로 이 둘을 뺀 값은 약 0.086615입니다. 235삭망월이 19태양년보다 약 2시간 가량 더 깁니다.)
235는 12로 나누면 몫이 19에 나머지가 7이 됩니다. 따라서, 19년에 7번의 윤달이 존재하게 됩니다. 19는 7의 2배인 14보다는 크고 7의 3배인 21보다는 작은 수입니다. 따라서, 윤달은 대개 3년 뒤에 돌아오는데, 빠르면 2년 뒤에 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쨌든, 태음태양력에서는 중간에 윤달을 적당히 넣어줌으로써 계절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1월·2월·3월은 봄에, 4월·5월·6월은 여름에, 7월·8월·9월은 가을에, 10월·11월·12월은 겨울에 대응합니다. 음력 11월을 다른 이름으로 ‘동짓달’이라 부르는데, 이는 동지가 든 삭망월을 11월로 하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또, 한여름을 뜻하는 다른 표현인 ‘오뉴월’은 ‘오월'(5월)과 ‘유월'(6월)의 합성어로, 음력 5월과 6월은 양력으로 환산하면 대략 6월에서 8월 사이의 구간에 존재하는데 이 기간은 무더위가 매우 심한 한여름이기 때문에 ‘오뉴월’이 한여름을 뜻하는 다른 말이 된 것입니다.
오늘날 한국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음력은 시헌력이라는 역법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명나라 말기 중국에 건너온 독일 출신 선교사 아담 샬이 개발한 역법에서 유래한 것으로 당시 황제였던 숭정제의 이름을 따 ‘숭정력’이라고 칭했다가 명나라가 멸망한 후 청나라에서 ‘시헌력’으로 이름을 바꾼 것입니다. 24절기 중 춘분을 기준으로 태양 황경이 30도 단위인 우수, 춘분, 곡우, 소만, 하지, 대서, 처서, 추분, 상강, 소설, 동지, 대한을 12중기라 하고 나머지를 12절기라 하는데, 시헌력에서는 윤달을 넣을 때 12중기에 해당하는 날이 들어가지 않는 삭망월, 즉 무중월을 윤달로 하는 ‘무중치윤법’을 쓰고 있습니다. 만약 윤달로 할 무중월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는 첫 무중월을 윤달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2033년에는 이 원칙을 지킬 경우 음력 11월이 아닌 10월에 동지가 들게 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2033년 문제‘가 있습니다.)
한편, 이슬람권에서 쓰이는 전통 역법인 이슬람력의 경우는 태음력이지만 태음태양력이 아닌 순수 태음력으로 윤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슬람력으로 9월을 ‘라마단’이라고 부르는데, 윤달이 존재하지 않는 순수 태음력의 특성상 해를 넘길 때마다 라마단이 계속 앞당겨지는 일이 일어납니다.
(주: 이슬람권에서는 ‘라마단’이라 부르는 이슬람력 9월을 이슬람의 사도 무함마드가 쿠란을 계시받은 신성한 달로 여기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 기간에는 무슬림이 지켜야 할 5가지 의무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해가 떠 있는 동안 금식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