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 자격증이란?
(사)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시행하는 기술자격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자격입니다.
민간자격으로, 1급과 2급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현재 두 등급 모두 국가공인입니다.
두 등급의 검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급: 리눅스 전문 응용, 리눅스 기반 시스템의 관리능력 검정
- 2급: 리눅스 기초 활용, 리눅스 운영시스템의 프로그램 사용능력 검정
응시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1급/2급 공통)
- 1차 시험: 제한없음. (특별한 결격사유가 없는 이상 누구나 응시 가능)
- 2차 시험: 해당 등급의 1차 시험 합격 후 2년 이내.
시험 유형 및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급
- 평가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리눅스 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 1차 시험(필기): PBT 방식의 4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100분간 총 100문항을 풀게 되며, 60문항 이상 정답시 합격입니다. 단, 정답률이 40% 미만인 과목이 있으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 2차 시험(PC): PBT 방식의 주관식으로 출제됩니다. VirtualBox에서 구동되는 CentOS를 이용하여 시험을 치르게 되며, man 명령어로 매뉴얼을 보거나 설정 파일을 읽어 보면서 문제의 답을 찾아 답안지에 적는 방식입니다.
문항 수는 15~17문항으로, 앞의 10문항은 명령어나 간단한 설정 사항 등에 대해 묻는 2~4개의 소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배점은 총 40점입니다. 뒤의 5~7문항은 관리 및 설정 사항에 대해 묻는 4~6개의 소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배점은 총 60점입니다. 제한시간은 100분이며, 60점 이상 득점시 합격입니다.
- 2급
- 평가과목: 리눅스 일반, 리눅스 운영 및 관리, 리눅스 활용
- 1차 시험(온라인): CBT 방식의 4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시험장에 가지 않고 집에서 인터넷으로 응시합니다. 정해진 기간 내에 언제든 응시할 수 있으나, 한 회차당 응시 기회는 한 번 뿐입니다. 60분간 총 50문항을 풀게 되며, 30문항 이상 정답시 합격입니다.
- 2차 시험(필기): PBT 방식의 4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100분간 총 80문항을 풀게 되며, 48문항 이상 정답시 합격입니다. 단, 정답률이 40% 미만인 과목이 있으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연 시행 횟수는 1급 2회, 2급 4회(2022년 기준)입니다.
(사)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리눅스마스터 공식 링크:
https://ihd.or.kr/introducesubject1.do
필기 기출문제는 다음 사이트에서 풀어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comcbt.com/ (1급 1차, 2급 2차)
- https://q.fran.kr/ (1급 1차/2차, 2급 2차)
리눅스마스터와 관련이 있거나 유사한 자격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보처리기사: 기사 등급의 국가기술자격. 정보시스템 개발 등을 평가. 가끔 이 종목에서 리눅스 관련 문항이 출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정보보안기사/정보보안산업기사: 기사/산업기사 등급의 국가기술자격. 정보보안 등을 평가.
- 네트워크관리사 (1급/2급):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에서 시행하는 민간자격(2급 국가공인).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관리 등을 평가.
- LPIC: 캐나다의 Linux Professional Institute에서 주관하는 국제자격. 리눅스 관련 부분 평가.
- RHCE: 레드햇 사에서 주관하는 국제자격. 리눅스 관련 부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