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체스 두는 방법 간단한 설명

날짜: Posted on

체스판은 위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

체스판의 가로줄을 ‘랭크’라 부르며 1번부터 8번까지 있습니다. 백 진영에 가까울수록 숫자가 작아집니다. 1-2번 랭크는 백의 말이 놓이는 곳, 7-8번 랭크는 흑의 말이 놓이는 곳입니다.
체스판의 세로줄은 ‘파일’이라 부르며 a-b-c-d-e-f-g-h 순입니다. 백이 보는 쪽에서는 맨 왼쪽이 a, 맨 오른쪽이 h이며, 흑의 입장에서는 그 반대입니다.

말 배치

말은 흑백 모두 킹과 퀸 각각 1개씩, 룩과 나이트와 비숍은 2개씩, 폰은 8개씩 총 16개의 말(흑백 합치면 32개)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말 배치는 최후방 랭크(백은 1랭크, 흑은 8랭크)의 양쪽 끝에 룩을 놓고, 그 옆에는 나이트, 또 그 옆에는 비숍을 놓고, 가운데에는 킹과 퀸을 놓습니다. 퀸은 d랭크에, 킹은 e랭크에 놓입니다. 따라서, 백은 오른쪽에 킹이 놓이고 흑은 왼쪽에 킹이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최후방에서 1칸 앞(백은 2랭크, 흑은 7랭크)에는 모두 폰으로 채웁니다.

말 이동 방법

킹 (King)
말 그대로 왕입니다. 이동 방향은 전후좌우 혹은 대각선으로 인접한 8칸 중 1칸 이동합니다. 장기의 ‘궁’에 해당하는 말로, 이 말이 공격당하는 상황을 ‘체크’라 부르며, 체크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체크메이트’라 하여 대국이 종료됩니다.
퀸 (Queen)
장기의 ‘사’에 해당하는 말이지만 매우 강력한 말입니다. 이동 방향은 전후좌우 혹은 대각선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룩과 비숍을 합친 것과 같습니다.
룩 (Rook)
장기의 ‘차’에 해당하는 말로 전후좌우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퀸에서 비숍의 행마법이 빠진 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이트 (kNight)
장기의 ‘마’에 해당하는 말로 가로로 2칸 세로로 1칸 또는 가로로 1칸 세로로 2칸 떨어진 자리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장기의 ‘마’와는 다르게 중간 길목이 막혀도 이동할 수 있습니다.
비숍 (Bishop)
장기의 ‘상’과 비슷한 기물이지만 이동 방식은 다릅니다. 대각선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퀸에서 룩의 행마법이 빠진 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각선 이동의 특성상 룩보다 조금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신이 밟고 있는 칸과 같은 색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폰 (Pawn)
장기의 ‘졸’에 해당하는 말로 통상 이동과 공격의 행마법이 다릅니다. 통상 이동은 1칸 직진하며, 공격(말 잡기)은 대각선으로 1칸 전진입니다. 다만, 아직 이동하지 않은 폰에 한해 가운데 길목이 막혀 있지 않다면 2칸 전진이 가능합니다.

특수 규칙

캐슬링 (Castling)
킹이 룩을 이용해서 단 한 번 옆으로 2칸 이동할 수 있는 규칙입니다. 캐슬링을 해서 킹이 2칸 옮기게 되면 그 방향에 있던 룩은 킹을 넘어 그 옆으로 붙게 됩니다. 캐슬링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 킹과 캐슬링 방향의 룩 모두 한 번도 이동한 적이 없어야 합니다. (반대편 룩은 이동한 적이 있더라도 무방)
  • 킹과 룩 사이가 비어 있어야 합니다.
  • 킹은 체크 상태가 아니어야 하고, 목적지와 중간 길목 모두 공격하는 상대 말이 없어야 합니다.
승급 (Promotion)
폰이 최전방 랭크(백은 8랭크, 흑은 1랭크)에 도달하는 것과 동시에 킹을 제외한 상위 말(퀸, 룩, 나이트, 비숍) 중 하나로 교체되는 규칙입니다. 대개는 가장 강력한 말인 퀸으로 교체합니다.
앙파상 (En passant)
아직 움직이지 않은 상대방 폰이 1칸 전진한다면 자신의 폰이 잡을 수 있는 상황에서 2칸 전진해서 이를 피했다면, 그 폰이 1칸만 전진한 것으로 취급하여 바로 다음 수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해 그 폰의 뒤로 간 다음 잡아내는 규칙입니다.

대국 용어

체크 (Check)
킹이 공격당하는 상황입니다. 이 상황이 되면 킹을 움직이거나 다른 말로 막는 등의 방법으로 피해야 합니다. 또한, 대국자는 킹을 스스로 체크되게 하는 수를 둘 수 없습니다.
체크메이트 (Checkmate)
체크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상황이 되면 체크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는 대국자가 패배합니다. 즉 상대방을 체크메이트 상태로 만들면 승리합니다.
스테일메이트 (Stalemate)
체크가 아닌데 어떤 수를 두더라도 스스로 체크에 걸리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상황이 되면 대국이 무승부가 됩니다.
추크츠방 (Zugzwang)
나쁜 수를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체스에서는 한 수 쉼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둘 수 있는 수가 있다면 모두 나쁜 수라 하더라도 둘 수밖에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