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장기인 샹치의 판은 위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
샹치판은 한국식 장기판과 동일하게 세로줄이 9개, 가로줄이 10개 있습니다. 따라서, 가로 9칸, 세로 10칸으로 구성됩니다.
한국식 장기판과 마찬가지로 샹치판은 가로줄과 세로줄이 교차하며, 자신의 진영 한가운데의 3×3 영역에는 대각선이 X자 모양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 영역을 ‘궁성’이라 부릅니다.
다만 한국식 장기판에는 없는 것이 있는데, 양 진영 사이의 네모칸이 하나로 합쳐져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초하한계’, 더 간단히 ‘강’이라고 부릅니다.
말 배치
한국식 장기와 마찬가지로, 말은 양측의 궁(장/수) 1개씩, 차 포 마 상 사 각각 2개씩, 졸/병 5개씩 총 16개의 말(양측 합치면 32개)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다만 말 배치는 조금 다릅니다. 한국식 장기와는 다르게 궁이 궁성 정중앙이 아닌, 한 칸 후퇴해서 1선 정중앙에서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차는 한국식 장기와 동일하게 1선의 양쪽 끝에, 사는 1선 정중앙의 양옆에 배치됩니다. 마는 차 옆에, 상은 사 옆에 놓습니다. 즉 마와 상의 위치를 바꿔서 시작할 수 있는 한국식 장기와는 다르게 무조건 마상상마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3선 양끝에서 한 칸 떨어진 자리에 포를 놓고, 4선에는 졸/병 5개를 1칸 간격으로 띄워서 놓는 것은 한국식 장기와 동일합니다.
말 이동 방법
- 장/수 (將/帥)
- 궁이라고 부르는 기물로, 왕에 해당합니다. 한국식 장기의 초/한과 같습니다. 이동 방향은 궁성 안의 선을 따라 전후좌우 1칸씩 이동할 수 있습니다. 다만, 궁성의 대각선을 따라 움직일 수 없으며, 궁성 바깥으로 벗어날 수도 없습니다. 이 기물이 잡힐 수밖에 없는 상황(외통수)에 몰리면 대국이 종료됩니다. 또한, 양측의 궁이 같은 세로줄에 있고 궁 사이에 다른 기물이 없어 마주보는(대궁) 상태가 되면 ‘왕장’이라 하여 그 상태를 만든 대국자가 패배합니다.
- 사 (士/仕)
- 궁을 보호하는 기물로, 궁성의 대각선을 따라서만 움직이고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곳은 궁성의 네 귀퉁이와 정중앙 이렇개 5곳 뿐입니다.
- 차 (車/俥)
- 전후좌우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기물입니다. 다만 다른 기물을 넘어서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또한, 궁성의 대각선을 타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포 (砲/炮)
- 한국식 장기의 포와는 다르게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통상적인 이동은 차와 동일하며, 오직 상대의 기물을 잡을 때만 한국식 장기의 포처럼 기물 하나를 넘어서 잡습니다. 또한, 한국식 장기와는 달리 포끼리도 서로 넘을 수 있고 서로 잡을 수 있습니다. 다만 궁성의 대각선을 따라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 마 (馬/傌)
- 전후좌우로 한 칸 움직인 후 같은 방향의 대각선으로 한 칸 움직입니다. 가로 2칸+세로 1칸 또는 가로 1칸+세로 2칸 떨어진 자리로 갑니다. 다만 중간 길목인 전후좌우 1칸 자리(‘멱’이라 부름)에 자신의 말이든 상대방의 말이든 다른 말이 있다면 그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습니다. 유일하게 한국식 장기와 움직임이 동일합니다.
- 상 (象/相)
- 대각선으로 두 칸 움직입니다. 가로 2칸+세로 2칸 떨어진 자리로 갑니다. 마와 마찬가지로 멱이 막히면 움직일 수 없습니다. 상의 멱은 대각선으로 1칸 떨어진 자리입니다. 또한, 강을 건널 수 없어 상대 진영으로 진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곳은 7곳 뿐입니다.
- 졸/병 (卒/兵)
- 처음에는 1칸 전진만 가능하며, 강을 건넌 뒤에는 한국식 장기와 동일하게 옆으로도 1칸 움직일 수 있으며 후진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상대방 궁성의 대각선을 따라 전진할 수는 없습니다.
청색 진영인 ‘초’부터 시작하는 한국식 장기와는 달리, 샹치는 홍색 진영인 ‘수’부터 시작합니다.
그 외
한국식 장기와는 다르게, 샹치는 한 수 쉴 수 없습니다. 따라서, 둘 수 있는 수가 모두 악수여도 어쩔 수 없이 두어야 합니다. 어떤 수도 둘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 패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