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삼한사온, 무엇인가?

날짜: Posted on

삼한사온(三寒四溫)은 겨울철 날씨 변화를 나타내는 속담입니다.

삼한사온의 원인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며, 북서계절풍이 강해질 때 추위가 오고 물러갈 때 온화해지는 현상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반구 대기 상층의 ‘블로킹(blocking)’ 현상이 지속되면서 삼한사온 현상이 뚜렷하지 않고 긴 한파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의미

삼한(三寒)
춥고 매서운 날씨가 세 번 반복되는 것
사온(四溫)
따뜻한 날씨가 네 번 반복되는 것

즉, 겨울철에 춥고 따뜻한 날씨가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변화가 반복되면서 겨울이 지나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원

삼한사온은 예로부터 농경 사회에서 겨울 날씨를 예측하고 농사 준비를 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었습니다. 겨울철 날씨 변화를 관찰하여 봄이 올 시기를 예측하고, 씨앗을 뿌리거나 땅을 갈 준비를 했습니다.

현대적 의미

현대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 삼한사온의 패턴이 불규칙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겨울 날씨의 변덕스러움을 표현하는 속담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어려운 시기를 겪더라도 희망을 잃지 않고 긍정적으로 나아가라는 격려의 메시지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삼한사온의 주요 원인

시베리아 고기압의 확장 및 축소
  • 겨울철에 시베리아 지역에서 차갑고 건조한 고기압(시베리아 고기압)이 발달합니다.
  • 이 고기압이 동쪽으로 확장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면 북서계절풍이 강해져 기온이 낮아지고 한파가 몰려옵니다 (삼한, 추운 날씨).
  •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약해지면 계절풍이 약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날씨가 이어집니다 (사온, 따뜻한 날씨).

최근 삼한사온 현상 약화의 원인

북반구 대기 상층의 ‘블로킹’ 현상
  • 최근에는 대기 상층의 고기압과 저기압이 정체하여 기류의 흐름을 남북 방향으로 막는 ‘블로킹’ 현상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찬 공기가 한반도에 오랫동안 머물러 추위가 장기화되고, 과거와 같은 주기적인 삼한사온 패턴이 나타나기 어려워졌습니다.
  • 블로킹 현상은 바닷물 온도가 높아져 에너지 공급이 많아지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북극 온난화
일부 전문가들은 북극의 이상 고온 현상이 북극 한기류를 가두는 힘을 약화시켜, 남하하는 한기가 더 강해지고 변덕스러워지는 원인 중 하나라고 보기도 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